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 제임스 올워스 , 캐런 딜론 지음 | 이진원 옮김 | 이호욱 감수 | 알에이치코리아 | 2020년 02월 21일 출간
![](https://t1.daumcdn.net/cfile/tistory/994E0A4E5E79E05E32)
세계에서 가장 똑똑한 이들조차 불행을 피하지 못한다.
이 막막한 인생에서 무엇을 붙잡고 살아야 하는가.
하버드의 종강일, 암 투병 중인 노교수가 들려준 ‘후회 없이 좋은 삶을 사는 법’
2020년 1월 23일 전 세계 경영학계의 거목이 스러졌다.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이론’을 주창하며 경영학사에 커다란 족적을 남긴 하버드 경영대학원 석좌교수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이 별세한 것. 이 소식을 전하며 CNN은 “그는 실리콘밸리의 경전을 집필한 인물이며,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는 그의 책을 최고의 책으로 꼽았고,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 역시 그에게 깊은 영감을 받았다고 말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상아탑에 갇혀 연구만 하는 다른 교수들과 달리, 그는 여러 기업을 세워 직접 경영해 보면서 자신의 이론을 검증해 나갔던 것으로 유명하다. 그 과정에서 좋은 이론은 무너져 가는 기업뿐 아니라, 가정 나아가 개인까지 일으킬 수 있음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 깨달음을 2010년 봄, 암 투병을 하느라 쇠약해질 대로 쇠약해진 몸을 이끌고 하버드경영대학원 졸업생 앞에서 ‘인생학 특강’을 통해 들려주었다. 이 특강은 수많은 하버드 졸업생들의 마음을 울리며 입소문을 탔고, 마침내 책으로 출간되었다. 바로 《하버드 인생학 특강》이다.
생전에 수많은 경영서를 펴낸 그이지만, 죽음을 앞두고 사적인 이야기까지 꺼내며 ‘후회 없이 좋은 삶을 사는 법’을 담아낸 책은 이 책이 유일하다. 그만큼 묵직하고 뜨겁다. 무엇 하나 확실한 것 없는 혼돈의 시대, 대가가 남긴 인생 마지막 깨달음과 질문을 찾으려는 이들에게 이 책은 감동 그 이상을 선사해 줄 것이다.
목차
이 책에 쏟아진 뜨거운 찬사
시작하기 전에
시작하며: 깃털이 있다고 날 수 있는 건 아니다
‘무엇을 생각할 것인가’와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의 차이 | 좋은 이론은 변덕을 부리지 않는다 | 우리 인생에서 이론이 갖는 힘
1부_ 사회생활 속에서 행복 찾기
1장_ 무엇이 우리를 춤추게 하는가
일터에서의 경험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 | 인센티브가 세상을 돌아가게 할까? | 인센티브와 동기부여의 상관관계 | 불만족과 만족하지 않는 것 사이 | 우리에게 돈보다 중요한 건 | 최종 목표보다 과정이 중요하다 | 좋아하는 일을 찾는다면
2장_ 의도적 전략과 우연한 기회를 잘 활용하는가
혼다, 우연히 미국을 점령하다 | 내가 진가를 발휘하는 곳을 알 때까지 | 하버드 교수가 된 사연 | 무엇이 통할지 알아보는 법 | 그 일을 맡기 전에 해야 할 것
3장_ 나의 자원을 어디에 집중할 것인가
CEO의 말이 직원에게 통하지 않은 이유 | 자원 할당의 역설 | 개인이 문제를 만들어낼 때 | 장ㆍ단기 전략의 딜레마 | 우리 삶에서의 자원 할당
2부_ 관계 속에서 행복 찾기
4장_ 문제가 생기기 전, 관계에 투자하는가
위험한 모험, 엄청난 실패 | 좋은 돈 VS. 나쁜 돈 | 그늘이 필요할 때 나무를 심을 것인가 | 시간을 되돌릴 수는 없다 | 인생 투자의 순서 정하기
5장_ 상대를 이해하고 헌신하는가
이케아를 고용하다 | 더 싸게? 더 맛있게? 더 듬뿍? | 부모를 행복하게 한 제품 | 일하기 위해 학교를 고용하기 | 당신이 고용된 이유는 무엇일까 | 전적인 희생과 뜨거운 헌신
6장_ 아이가 도전을 겪을 때 함께하는가
아웃소싱에 대한 흥미로운 비극 | 기업이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 | 미래를 아웃소싱하지 마라 | 아이가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 | 가정에서 재현되는 그리스 비극 | 나의 부모님이 해주시지 않은 일 | 아이들은 배울 준비가 됐을 때 배운다
7장_ 경험의 학교에 입학시켰는가
정말 적절한 자질인가 | ‘적절한 자질’은 전혀 적절하지 않다 | 경험의 학교에서 들을 수업 계획하기 | 주전에게 필요한 과정 | 내 아이에게 가장 필요한 것 | 배워야 할 것을 가르치는 부모
8장_ 보이지 않는 문화를 만드는가
마차가 언덕을 넘어갈 때 | 회사에서 문화가 만들어지는 과정 | 우리 가족은 이렇게 행동한다
3부_ 좋은 삶을 위한 중간평가
9장_ ‘이번 한 번만’이라는 유혹을 이겨내는가
한계적 사고의 덫 | 어쨌든 전체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 ‘단 한 번’이라는 핑계의 대가 | 100퍼센트 지키기가 98퍼센트 지키기보다 더 쉽다
마치며: 당신의 인생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목적의 중요성 | 목적의 세 가지 부분 | 내가 되고 싶은 사람 | 전력을 다하기 | 적절한 평가 기준 찾기 | 앞으로 배워야 할 가장 중요한 것 |
감사의 말1: 우리를 행복하게 할 미래예측(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감사의 말2: 내가 도운 그들이 나를 도왔다(제임스 올워스)
감사의 말3: 인생의 목적을 찾아준 만남(캐런 딜론)
감수의 말: 최고 경영구루의 인생 지침서를 만나다
저자 : 클레이튼 M. 크리스텐슨
Clayton M. Christensen
‘파괴적 혁신 이론’으로 전 세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경영사상가로, 하버드경영대학원의 석좌교수를 지냈다. 브리검영대학교, 옥스퍼드대학교, 하버드경영대학원에서 두루 공부한 뒤, CPS 테크놀로지스라는 기업을 세워 회장 겸 의장으로, 보스턴컨설팅에서 컨설턴트와 프로젝트 매니저로 일하며 현장 경험을 쌓기도 했다. 1997년 수년간의 연구와 현장에서의 경험을 종합한 《혁신기업의 딜레마The Innovator's Dilemma》를 출간하며 경영학계의 신성으로 떠올랐고, 2011년에는 2년마다 경영 구루들의 글로벌 랭킹을 발표하는 씽커스 50에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영사상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쓴 책으로 《성장과 혁신The Innovator's Solution》, 《일의 언어Competing Against Luck》 《파괴적 혁신 4.0The Clayton M. Christensen Reader》 《미래 기업의 조건Seeing What's Next》 등이 있다.
2020년 1월 23일 오랜 투병 생활 끝에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사망 기사를 보도하며 CNN은 그가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와 애플 공동 창립자인 고故 스티브 잡스 등 수많은 경영자들에게 커다란 영감을 주었다고 밝혔다.
저자 : 제임스 올워스
James Allworth
하버드경영대학원을 졸업하고 유명 컨설팅 업체인 부즈앤컴퍼니와 애플에서 근무했다.
저자 : 캐런 딜론
Karen Dillon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전 편집자. 코넬대학교와 노스웨스턴대학교 메딜 언론대학원을 졸업했다. 크리스텐슨 교수와는 《하버드 인생학 특강》 《일의 언어》를 함께 집필했다.
역자 : 이진원
홍익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영어영문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코리아헤럴드〉 기자로 언론계에 첫발을 내디딘 후 IMF 시절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에서 한국경제 대외홍보 업무를 맡아 장관상을 받았다. 이후 로이터통신으로 자리를 옮겨 거시경제와 채권 분야를 취재했고, 국제경제 뉴스 번역 팀을 맡았다. 비즈니스 분야의 전문번역가로 활동하면서 《새로운 디지털 시대》 《경제를 읽는 기술》 《미래 기업의 조건》 《디지털 네이티브》 등 다수의 책을 번역했다.
감수 : 이호욱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텍사스A&M경영대학원에서 전략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1년부터 2년간 미국 코네티컷주립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 전략경영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전략경영저널Strategic Management Journal〉을 비롯해 다수의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다. 한국인사조직연구 최우수 해외논문상을 수상했고 연세대학교에서 5년 연속 강의우수상을 받았다.
[출처: 교보문고]